반응형 CS (컴퓨터공학)9 [개발서적 추천] NLP와 LLM 실전 가이드 (리오르 가지트, 메이삼 가파리) 머신러닝의 수학적 기초(벡터, 선형독립, 기저, 고윳값분해, 대각화가능행렬 등)부터 시작해 NLP에서 접목 가능한 내용으로 시작한다. 선형대수학, 최적화, 확률론, 통계학 등 머신러닝과 NLP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구현하는 데 필수적인 기초 개념을 익힐 수 있다는 서평의 말이 체감되는 부분이었다. 메인으로는 텍스트 데이터를 다루긴 하지만 일반적인 데이터 분석 방법론까지 자세히 다루고 있어 굳이 텍스트 뿐 아니라 비정형 데이터 분석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을 것 같다.--- 가장 인상 깊게 읽었던 부분은 3장(자연어 처리에서 머신러닝 잠재력 발휘하기)과 9장(대규모 언어 모델이 주도하는 고급 응용 프로그램 및 혁신의 최전선)이었다. 1. 3장 - 자연어 처리에서 머신러닝 잠재력 발휘하기- 자연어 처리에서 머.. 2025. 3. 28. [개발서적 추천] 그로킹 알고리즘 (아디티야 바르가바) 솔직히 기존까지 알고리즘 공부를 많이 해봤지만, 매번 기억에 남는 것은 하나도 없었다. 이 책의 제목과 표지만을 봤을 때 조금 달랐던 점은, 자바 또는 파이썬 코드 위주의 알고리즘 문제 풀이 서적과 다르게 어떻게든 이해시키려고 노력한다는 것이었다. 정의를 먼저 소개하고 활용법을 제시하기보다 문제 상황을 먼저 던진 다음, 이런 경우라면 어떻게 해결할 수 있겠는가? 라는 질문으로부터 출발하는 방식이 매우 마음에 들었다. 여기서 간단히 내가 회사에서 하는 업무를 소개하자면, Elasticsearch/OpenSearch와 같은 검색엔진 클러스터를 구축 및 관리하는 역할로 파면 팔수록 Computer Science적 지식을 필요로 하는 분야다. (깊게 들어가면 사실 그렇지 않은 분야가 있겠냐만은..) 아래 두 가.. 2025. 3. 14. [개발서적 추천] 모니터링의 새로운 미래 관측 가능성 은 현대 IT 운영 환경에서 관측 가능성에 대한 본질적인 가치를 탐구하는 데 깊이를 더해주는 소중한 자료입니다. 책은 모니터링과 관측 가능성의 차이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제공하며, 관측 가능성이 화이트박스와 예측 영역을 다루면서 미래 이벤트를 예측하고 IT 운영을 자동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사실을 독자에게 명확하게 전달합니다.여러 핵심 키워드인 메트릭, 로깅, 트레이싱, 쿠버네티스, 서비스메쉬, 프로메테우스, 그라파나, 오픈텔레메트리를 통해 관측 가능성의 핵심 개념과 이를 실제로 구현하는 방법을 자세히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독자는 이러한 도구와 기술들이 어떻게 현대 IT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실전적인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저자는 특히 시계열 데이터베이스의 중요성.. 2024. 1. 13. [개발서적 추천] 도메인 주도 설계로 시작하는 마이크로서비스 개발 "도메인 주도 설계로 시작하는 마이크로서비스 개발"이라는 책에 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이 도서는 개발 백과사전 추천 도서 3으로, 제품 중심의 개발/피드백으로 스프린트를 구성하고 MSA 체제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1. 개발 생명주기는 프로젝트 단위가 아닌 제품 중심 Agile 방법론은 Waterfall 방식에 비해 개발 생산성을 해칠 수도 있지만 산출물을 프로젝트 단위가 아니라 제품 단위로 쪼개는 것은 분명히 효과가 있다. 이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제품 중심의 개발과 피드백을 통해 스프린트를 구성하여 MSA 체제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2. 유연성과 장애복구를 위한 API Gateway 패턴 API Gateway 패턴은 App, Web 등 여러 클라이언트가 MSA의 서비스.. 2023. 10. 13.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